
5·18민주화운동 음모론을 담고 일제의 위안부 강제연행 역사를 부정해 논란을 일으킨 책이 전국 79곳 공공도서관에 비치돼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더불어민주당 박수현 의원이 22일 국립중앙도서관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국 79곳 공공도서관은 대한민국교원조합(대한교조)이 펴낸 '대한민국 사회 교과서'를 소장 중이다.
해당 책은 식민사관 옹호, 독재 미화 등 극단적인 역사관을 포함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다. '교과서' 이름을 쓰고 있지만 교육부의 검정을 받은 정식 교과서는 아니다.
책은 사회적 합의가 마무리된 5·18에 대해 음모론을 제기하고 있다. 책 370쪽에는 'CIA 보고서에 따르면, 5·18이 공산당 간첩과 김대중 지지자들의 합작품이었고 폭동은 전문적인 선동꾼들이 일으켰다고 한다'고 적시돼 있다.
12·12 군사반란을 일으킨 하나회에 대해서는 '혼돈의 회오리가 몰아칠 무렵, 시대의 부름에 따를 능력을 갖추고 준비하고 있던 집단이 바로 전두환을 중심으로 뭉친 하나회였다'고도 서술하면서 군사독재를 미화했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일제의 위안부 강제 연행에 대해서도 180쪽에 '대부분의 증언에 따르면 강제연행은 존재하지 않았다고 한다'라고 기술해 논란을 일으켰다.
교육부는 논란이 된 책을 낸 대한교조와 지난해 11월 업무협약을 맺기도 했다.
박 의원은 "5·18 정신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식민사관을 주입하여 국민 통합을 해치는 도서는 유통을 근절해야 한다"며" 역사를 갈등과 분열의 도구로 삼는 것은 결코 용납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도서관법 제20조 제5호는 도서관 직원의 교육훈련 및 국내 도서관에 대한 지도·지원·협력을 명시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은 해당 조항에 근거해 문제 도서를 즉시 확인·정리하고, 전국 도서관의 소장 상황을 전면적으로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호남일보 인터넷신문 관리자 기자 |








